티스토리 뷰

금융

자산관리, 재테크 관련 책들.

혼자라고생각말기 2017. 6. 16. 22:12

 

#투자나 재테크 관련된 책을 읽다보니 역설적이게?도 투자는 거리를 두게 된다. 월급쟁이 사회초년생은 무슨 투자를 하는 것 보다 있는 돈 관리 잘하고 절약하는 게 나은 것 같다. 
예를 들어 월급쟁이인 사회 초년생의 한달 수입이 200라 하자. 
일단 안정적인 예적금을 가장 큰 비중으로 할 거고, 부동산 할 돈은 없을거고, 이제 투자를 한다면, 펀드/주식을 수입의 20퍼센트 그러니까 한 달에 40만원 해볼 수 있겠다. 그리고 쉽지 않겠지만 매달 10퍼센트 수익을 올린다면  매달 4만원 이득이다(물론 수익을 재투자하면 매달 이득이 커지겟지만). 무려 10퍼센트인데 겨우 4만원이다. 그냥 한 달에 치킨 두 번 참으면 된다. 사실 매달 5만원만 참는게 더 수익률이 좋다..
수익을 더 올리려면 투자금을 키워야하는데, 그럼 종잣돈이 많아야한다. 종잣돈이 작은데 무리해서 수입의 대부분을 주식에 투자하면, 등락에 훨씬 예민해질테고 이성적인 판단 실패, 수익률 하락으로 이어질것이다. 그러니까 이제 막 취업했으면 적극적인 투자보다 종잣돈을 모으는 게 맞는 것 같다.
여기서 문제가 생기는데 (각자 적절한 종잣돈의 규모가 다를 순 있지만) 어느 정도 종잣돈을 모을 즘 사실 자동차구매/결혼자금/내집마련 등 목돈이 나갈 타이밍이 올 것 같다. 

그러니까... 
*절약 보다 투자의 효율이 좋으려면 우선 종잣돈이 필요
*외부(?)의 도움 없이 사회초년생이 종잣돈을 모았다고 할 즈음엔 자동차구매/결혼/내집마련 등의 큰 돈이 쓰이는 사건이 발생
*앗 그럼 투자를 할 기회가 없네? 30대 이후는 어떨까? 잘은 모르지만 출산 이후엔 더 힘들어질 것 같은데..?

#주식을 열심히 공부해보고 싶었는데(일단 공부해서 되는 건가?) 지금은 절약이 투자보다 좋다는 생각이 드니까 의욕 상실.

#근데 또 지금 미리 공부하지 않으면 막상 투자 할 만한 돈이 생겼을 때 하지 못하겠다는 생각도 든다.

 

1. 심리 계좌, 돈에 관한 다섯 가지 착각(이지영)

#2016.07.20~2016.07.22

 


#자영업 시작전 고려해보아야할 것

 


#맞벌이 소득은 중단 될 수 있음을 늘 생각해야함

 


#보장성 보험료의 구성

 


#결혼 후 가계부 항목 만들 때 참고

 


 

2. 보험회사가 당신에게 알려주지 않는 진실(김미숙)

3. 당신이 속고 있는 28가지 재테크의 비밀(박창모)

#2016.07.22~2017.07.23
#방학맞이 금융 경제 책 읽기
#두 권 읽고 흥국 종신은 해지, 메리츠 보장성보험은 축소하기로 결심
#변동성 지출보다 고정지출을 먼저 줄이자

 


#저축은행이 건강한 지

 


#펀드를 할 때

 

 

 

 

4. 저는 재테크가 처음인데요!(김태형)

 

#2017.02.10

#이런 류의 책 3~4권 읽다보면 다 비슷한 것 같다.

#입출금계좌 종류가 꽤 많구나

 


#CMA의 종류. 내 비상금통장용 CMA는 뭔지 확인해봐야겠다.

 

 


#저축은행이 혹시 부도났을 때는?


'금융'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동산 매물 찾는 사이트  (0) 2017.07.09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4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