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01 기업의 가치를 산정하기 전에 알아두어야 할 것
#처음 할 때는 꽤나 귀찮은 작업
: 이 방법을 사용하는 개인 투자자는 거의 없다. 다른 말로하면 하기만 하면 잘 할 수 있다.
#기업의 가치란
: '기업이 영위하는 사업의 가치'+'보유하고 있는 재산'
: (1주당 가치)=(기업 전체의 가치)÷(발행 주식 수)
02 5분 안에 구하는 주식의 가치
#크게 4단계
① '사업 가치'를 평가
② '재산 가치'를 평가
③ 부채(빚)을 뺀다
④ 발행 주식 수로 나눠 한 주의 가치를 산출
# ① 사업가치 영업이익을 기준으로 계산
: (사업가치)=(영업이익)×(100-실효세율)÷(기대수익률)
: 한국버전으로 사업가치는 영업이익의 13~14배 정도
# ② 재산가치는 유동자산과 비유동자산(고정자산)으로 나누어 계산
: 유동자산이란 1년 이내에 돈으로 바꿀 수 있는 자산, 비유동자산은 그렇지 않은 것
# 유동자산 중 재산가치
: (유동자산)-(유동부채)×(업종 평균 유동비율)
: 의미는, 유동자산 중 사업에 필요가 없는 재산을 구하는 것인데
: 업종 평균적으로 유동자산 중 유동부채의 비율이 어느 정도인가를 이용해서 유동자산 중 당장 빠져나갈 돈을 제외하고 재산이라 부를 정도?가 얼마인지 구하는 것이다.
# 비유동자산 중 재산가치
: (고정자산 중의 '투자 자산')
: 예를 들면 다른 회사의 주식을 사거나, 정기예금에 가입한 것들
따라서, (재산가치)= (유동자산)-(유동부채)×(업종 평균 유동비율)+(고정자산 중의 '투자 자산')
# ③ 부채(빚)을 뺀다
: (고정부채)를 뺀다.
: 정교하게 하고 싶다면 (장기차입금)과 (임직원 퇴직급여충당금)는 여기서 제외.
Q. 여기서 질문, 장기차입금이랑 입직원 퇴직급여충당금은 왜 제외하지?
# ④ 발행 주식 수로 나눠 한 주의 가치를 산출
: 한 후 현재 주가와 비교한다.
03 저평가주를 어떻게 찾을 것인가?
#스크리닝의 핵심은
: 너무 엄격하게 정하지 않는다.
: 정량적으로 대략 압축한 후, 천천히 정성적으로 유망 기업을 압축
#초보자라면
: PER 10배 이하
: PBR 1배 이하
'주식 > 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5장 왜 주가는 올라가는가? (1) | 2018.02.13 |
---|---|
4장 가치의 '원천'을 간파하려면? (0) | 2018.02.12 |
2장 '가치'란 무엇인가? (0) | 2018.02.12 |
1장 주식 투자로 돈을 버는 구조 (0) | 2018.02.12 |
현명한 초보 투자자 (야마구치 요헤이) (0) | 2018.02.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