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주식/책

3장 기업의 가치를 파헤쳐라!

혼자라고생각말기 2018. 2. 12. 21:35

01 기업의 가치를 산정하기 전에 알아두어야 할 것


#처음 할 때는 꽤나 귀찮은 작업

: 이 방법을 사용하는 개인 투자자는 거의 없다. 다른 말로하면 하기만 하면 잘 할 수 있다. 


#기업의 가치란

: '기업이 영위하는 사업의 가치'+'보유하고 있는 재산'

: (1주당 가치)=(기업 전체의 가치)÷(발행 주식 수)


02 5분 안에 구하는 주식의 가치


#크게 4단계

① '사업 가치'를 평가

② '재산 가치'를 평가

③ 부채(빚)을 뺀다

④ 발행 주식 수로 나눠 한 주의 가치를 산출


# ① 사업가치 영업이익을 기준으로 계산

: (사업가치)=(영업이익)×(100-실효세율)÷(기대수익률)

: 한국버전으로 사업가치는 영업이익의 13~14배 정도


# ② 재산가치는 유동자산과 비유동자산(고정자산)으로 나누어 계산

: 유동자산이란 1년 이내에 돈으로 바꿀 수 있는 자산, 비유동자산은 그렇지 않은 것


# 유동자산 중 재산가치

: (유동자산)-(유동부채)×(업종 평균 유동비율)

: 의미는, 유동자산 중 사업에 필요가 없는 재산을 구하는 것인데

: 업종 평균적으로 유동자산 중 유동부채의 비율이 어느 정도인가를 이용해서 유동자산 중 당장 빠져나갈 돈을 제외하고 재산이라 부를 정도?가 얼마인지 구하는 것이다. 


# 비유동자산 중 재산가치

: (고정자산 중의 '투자 자산')

: 예를 들면 다른 회사의 주식을 사거나, 정기예금에 가입한 것들


따라서, (재산가치)= (유동자산)-(유동부채)×(업종 평균 유동비율)+(고정자산 중의 '투자 자산')


# ③ 부채(빚)을 뺀다

: (고정부채)를 뺀다.

: 정교하게 하고 싶다면 (장기차입금)과 (임직원 퇴직급여충당금)는 여기서 제외.


Q. 여기서 질문, 장기차입금이랑 입직원 퇴직급여충당금은 왜 제외하지?


# ④ 발행 주식 수로 나눠 한 주의 가치를 산출

: 한 후 현재 주가와 비교한다. 


03 저평가주를 어떻게 찾을 것인가?


#스크리닝의 핵심은

: 너무 엄격하게 정하지 않는다. 

: 정량적으로 대략 압축한 후, 천천히 정성적으로 유망 기업을 압축


#초보자라면

: PER 10배 이하

: PBR 1배 이하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