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01 결과를 초래하는 원인에 눈을 돌리자
#이익의 원천을 간파하는 네 가지 질문
① (과거의 실적): 그 기업은 '무엇에서' 돈을 벌고 있는가?
: 실적분해의 유형 3가지는 "사업별", "지역별", "고객별"
② (과거의 사업 환경): '왜' 벌 수 있었는가?
: 그 회사의 강점을 한마디로 말하면...?
③ (미래의 사업 환경): 앞으로 돈을 버는 구조에 변화는 있는가?
④ (미래의 실적): 이제부터 '얼마나' 돈을 벌 수 있는가?
#좋지 않은 예시와 좋은 예시
① 초심자의 눈높이
: 미래의 실적을 예상(건강식품 붐이 일고 있으니 이 회사의 장래는 밝을 것이다. )
② 통계 애널리스트의 눈높이
: 과거의 결과를 근거로 미래의 결과를 예측(과거의 이익은 5억엔, 6억엔으로 오르고 있으니, 다음 분기에는 7억엔 정도가 될 것이다. )
③ 업계 종사자의 눈높이
: 내부 사정을 잘 알고 업계가 어떻게 변화할 지 잘 알고 있지만, 결과의 관점이 누락되어 기업의 가치에 대한 정량적 관점이 약함(규제 완화로 이 회사의 사업은 점점 더 확대될 것이다!)
④ 현명한 투자자의 눈높이
: 인과관계의 조망(과거의 실적은 수요의 증대로 50억엔까지 올랐지만, 앞으로는 규제 완화로 신규참여가 있을 것 같다. 그러나 이 회사의 기술력을 살려 새로운 수요를 흡수한다면, 장차 80억엔까지 실적이 확대될 것이다. )
02 시장의 매력도란 무엇인가?
#시장의 매력의 두 가지 요소는 '수요의 성장', '치열하지 않은 경쟁'
03 강한 비즈니스 모델이란 무엇인가?
#강한 비즈니스 모델의 두 요인은 '높은 이익률을 확보할 수 있는 모델', 그것을 '어디까지 확대할 수 있는가'
#높은 이익률을 확보하는 모델
① (높은 업무 효율): 많은 일을 잘하는 기업
-SPA, 유니클로
② (프랜차이즈, 네트워크): 남에게 맡기는 기업
③ (지적 재산): 아무도 할 수 없는 것을 하는 기업
④ (브랜드 로열티): 신뢰가 두터운 기업
04 강한 모델을 확장할 수 있는가?
#사업 확장의 두 가지 방향
: '같은 고객에게 다른 상품을 판매', '다른 고객에게 같은 상품을 판매'
#같은 고객에게 다른 상품을 판매하려면
: 현재의 고객 충성도의 크기가 관건
#다른 고객에게 같은 상품을 판매하려면
: 취급하는 상품이 많은 사람들에게 필수품이 되는 것이 관건
05 주목해야 할 것은 소형, 저평가, 성장주
#소형 기업은 총자산과 매출이 300억엔 이하인 중견기업
: 단순(사업 내용 명쾌, 재무제표 단순)
: 저평가(알려지지 않음)
: 고효율(경영 효율)
#성장 기업은 평가받기 쉬움
: 저평가 되어 있더라도 자산주 보다는 성장주가 재평가받기 좋다.
: 상장 후 어느 정도(2~10년) 지나 시장의 관심에서 멀어져 주가는 침체되어 있지만 회사 자체는 열심히 사업을 성장시키고 있을 때가 매수 시점
: 애널리스트들의 주목을 받아 주가가 올라가기 시작할 때 경영자의 자질을 확인('기업 제국'을 건설하는데 핏대를 올린다면 No, 매각하자)
#'좋은 투자 대상=좋은 회사'는 아니다
: 좋은 회사는 애초에 상응하는 주가가 형성되어 있다.
: 우량한 기업이 초우량한 기업이 되는 것보다 최악의 기업이 다소 나아진다는 기대
Column 버핏으로부터의 졸업
버핏은 거대당 이익률을 중요시했고, 거래 횟수(회전율)은 낮다. 하지만 이는 그의 회사의 자산 규모가 너무도 크기 때문에 사고팔고 반복하여 회전시키기 어려워서이다. 자산 규모가 작았던 시절에는 그도 매매를 반복했었다. 개인투자자인 우리의 자산은 그다지 크지 않으므로 회전율도 중요한 요소이다.
'주식 > 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6장 '감정의 덫'에 걸리지 않기 위해 (0) | 2018.02.13 |
---|---|
5장 왜 주가는 올라가는가? (1) | 2018.02.13 |
3장 기업의 가치를 파헤쳐라! (0) | 2018.02.12 |
2장 '가치'란 무엇인가? (0) | 2018.02.12 |
1장 주식 투자로 돈을 버는 구조 (0) | 2018.02.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