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1 왜 주식으로 손해를 보는가? 02 '감정의 덫'이 손해를 부른다 03 투자자에게 희망은 있는가?:여기까지 특별한 내용 없음 04 투자에 도움이 되는 일곱가지 습관 ① 주가가 '올라갈까 내려갈까'를 예측하는 것이 아니라 '저평가 되었는가 아닌가'에 주목: 가치와 가격에 차이가 있는 것: 그것이 수정될 만한 계가기 있는 것 ② 의견이 아니라 사실에 근거하여 판단하자: 저평가도(대차대조표의 건전성, 사업의 유망성): 경영 능력(주주 중시도, 자본 정책의 수완): 가격 수정의 계기(유동성, 테마 등) ③ 결과가 아니라 그 이면에 있는 원인을 직시하자 ④ 모든 것을 알 필요는 없다. 가치의 '본질'을 간파하자. : '주식'을 사는 것이 아니라 '기업'을 사는 것: '기업이 가치를 창출하는 원천은 무엇인가?'..
01 주식 투자란 가치와 가격의 차이를 꿰뚫어보는 게임 #왜 가치와 가격의 차이가 생기는가?: 주식 뿐 아니라 모든 비즈니스가 가치와 판매 가격의 차이를 끌어내는 것: 왜 주식시장에서 가치와 가격의 차이가 발생하는가?: 그리고 어떻게 하면 가치와 가격의 차이가 해소되는가?: 어떻게 해서 가치와 가격의 차이를 이용하여 투자로 이익을 올릴까? #왜 차이가 발생하는가?: 정보 격차와 감정 편향이 차이를 만든다. : 장세가 감정적일 떄일수록 이익을 올리기 쉬다. #어떻게 차이가 해소되는가?: 시장은 의외로 효율적이라 '주가는 언젠가 기업의 가치에 접근한다. ': 벤저민 그레이엄 "주식시장은 단기적으로 보면 '투표기계'지만, 장기적으로 보면 '저울'이다. " #이럴 때는 주식을 팔아라!: 종목 선택을 잘못했을 때..
01 결과를 초래하는 원인에 눈을 돌리자 #이익의 원천을 간파하는 네 가지 질문① (과거의 실적): 그 기업은 '무엇에서' 돈을 벌고 있는가?: 실적분해의 유형 3가지는 "사업별", "지역별", "고객별"② (과거의 사업 환경): '왜' 벌 수 있었는가?: 그 회사의 강점을 한마디로 말하면...?③ (미래의 사업 환경): 앞으로 돈을 버는 구조에 변화는 있는가? ④ (미래의 실적): 이제부터 '얼마나' 돈을 벌 수 있는가? #좋지 않은 예시와 좋은 예시① 초심자의 눈높이: 미래의 실적을 예상(건강식품 붐이 일고 있으니 이 회사의 장래는 밝을 것이다. )② 통계 애널리스트의 눈높이: 과거의 결과를 근거로 미래의 결과를 예측(과거의 이익은 5억엔, 6억엔으로 오르고 있으니, 다음 분기에는 7억엔 정도가 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