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1 기업의 가치를 산정하기 전에 알아두어야 할 것 #처음 할 때는 꽤나 귀찮은 작업: 이 방법을 사용하는 개인 투자자는 거의 없다. 다른 말로하면 하기만 하면 잘 할 수 있다. #기업의 가치란: '기업이 영위하는 사업의 가치'+'보유하고 있는 재산': (1주당 가치)=(기업 전체의 가치)÷(발행 주식 수) 02 5분 안에 구하는 주식의 가치 #크게 4단계① '사업 가치'를 평가② '재산 가치'를 평가③ 부채(빚)을 뺀다④ 발행 주식 수로 나눠 한 주의 가치를 산출 # ① 사업가치 영업이익을 기준으로 계산: (사업가치)=(영업이익)×(100-실효세율)÷(기대수익률): 한국버전으로 사업가치는 영업이익의 13~14배 정도 # ② 재산가치는 유동자산과 비유동자산(고정자산)으로 나누어 계산: 유동자산이란 1년 ..
01 가치는 '이익'과 '위험'의 저울 위에 있다 #(일본을 기준으로) 평균 연간 수익률은 부동산 투자는 6~9%, 주식 투자는 5~9% 02 주식의 가치는 간단히 알 수 있다 #(적정 주가)×(기대수익률)=(매년의 이익)을 이용하여 적정 주가를 구함 03 가치의 구조를 알면 투자의 본질이 보인다 #주가 하락은 '매수'의 기회: 한 주당 이익이 같다면 단기적인 주가 하락은 수익률 상승을 의미함. #주식이나 예금이나 본질은 같다: 은행에 맡기는 일을 직접할 뿐, 위험이 0이라면 국채 정도의 수익률은 되어야 #무엇에 투자하는가는 문제가 아니다: 주식이나 예금이나 부동산이나 모두 '같은 기준'으로 평가할 수 있고, : 수익률의 크기 자체에는 아무 의미가 없다. Column 현금을 너무 좋아하지 마라!#'현금→..
01 주식 투자가 역시 유리하다? Q. 1000원 보너스가 생겼다면 어디에 돈을 쓸 것인가?① 슬롯머신 ② 경마 ③ 복권 ④ 생명보험 ⑤ 정기예금 ⑥ 부동산 투자 ⑦ 외화예금 ⑧ 주식 투자 A. 고려할 관점은 세 가지.① 비용(수수료, 세금)이나 수고가 얼마나 드는가? ② 최소로 필요한 투자액은 어느 정도인가? ③ 투자 대상을 선택할 때에 그 유망한 정도를 확인하기 쉬운가? 따라서 역시 주식이다. 02 주식으로 돈을 버는 구조 #기업의 가치는 기업이 버는 '이익'과 과거에 벌어 저장하고 있는 '재산'으로 구성-3장에서 기업의 가치 산정법을 논함. #가치의 '원천'은 사업 내용에 있다. -4장에서 사업의 본질을 논함. #주가가 오르는 이유는?-5장에서 저평가된 종목이 재평가 받는 계기의 패턴에 관하여 논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