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3장 기업의 가치를 파헤쳐라!>


#주식의 가치 산정 4단계

1. '사업 가치'를 평가한다. 

2. '재산 가치'를 평가한다. 

3. '부채(빚)'을 뺸다. 

4. 발행 주식 수로 나눠 한 주의 가치를 산출한다. 


1. 사업가치

-(사업가치)=(영업이익)×(1-실효세율)÷(기대수익률)

결론적으로 (사업가치)=(14)×(영업이익)


1) (영업이익): dart의 사업보고서에서 1~3년전 값 확인할 수 있다. 평균하면 되겠다.

 

2) (실효세율): 17%로 적용하자

-16년도 기준 실효세율 평균은 16.6%(http://www.hani.co.kr/arti/economy/economy_general/802572.html) 


-16년도 기준 2천억이상 소득을 올린 대기업 131개사 평균은 18.9%(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7/07/24/0200000000AKR20170724151800008.HTML)


-적당히 17%정도로 계산을 하면 될 것 같다. 스크리닝 후 기업을 분석할 때 정확한 값은 dart의 사업보고서에서 법인세비용를 보면 (영업이익)×(1-실효세율)을 정확히 구할 수 있다.

 

3) (기대수익률): 6%정도로 하면 될 듯하다. 

-책에서는 회사가 은행에 대출 받는 금리 3%와 주식의 기대수익률 5~9%의 중간 지점인 6%를 투자자와 은행 모두가 기업에 기대하는 수익률로 정하였다. (이때, 은행보다 주주 쪽이 돈을 내는 비율이 높으면 즉, 자기자본비율이 높으면 9%, 낮으면 5%쪽으로 조절) 하지만 책은 일본저자가 썼으므로 한국 버전으로 확인해보자. 


-중소기업의 은행 대출 금리를 확인해보면 3~4%이다. (http://www.kfb.or.kr/info/sb_interest_loan.html?S=FAF&opt_0=0&opt_1=1&detail=0&x=36&y=1,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7/10/14/0200000000AKR20171014022100002.HTML)


-다음으로 수식의 기대수익률을 찾아보자. 이건 정확하게 알 수 없지만 9%정도로 적용하면 되겠다.(http://news.joins.com/article/21141127)


-그래서 이 둘 중간 지점을 잡으면 6%가 된다. 


-따라서 

(사업가치)=(영업이익)×(1-0.17)÷(0.06)=(13.83...)×(영업이익)이 된다. 영업이익을 14배 또는 보수적으로 13배 하면 되겠다. 


#참고로 실적을 확인할 때 연결재무제표 대상 기업인지 단독재무제표 대상 기업인지 확인해야한다고 한다. 한 기업이 다른 기업에 지배력을 행사하여 재무정책, 영업정책에 영향을 줄 수 있을 때 두 기업을 하나로 볼 필요성이 있고, 이 때 재무제표를 연결재무제표라 하나보다. dart에서 사업보고서를 보면 이를 확인할 수 있다. 


2. 재산가치

-(재산가치)=(유동자산)-(유동부채)×(유동비율의 평균)+(고정자산 중의 투자자산)


1) (유동자산): dart의 사업보고서에서 1~3년전 값 확인할 수 있다. 평균하면 되겠다. 


2) (유동부채): dart의 사업보고서에서 1~3년전 값 확인할 수 있다. 평균하면 되겠다. 


3) (유동비율의 평균): 업종에 따라 적당한 값을 검색해서 대입하자. 

-책에서는 상장기업의 평균인 1.2배를 적용한다. 


-우리나라 상장기업 평균값은 못 찾겠고, 건설관련 몇몇 업종들의 유동비율 평균값은 이 곳에서 확인할 수 있다. (http://bidq.co.kr/v1/main/main/# 의 좌측 입찰도우미, 5번 업종별 평균비율) 또는 (http://www.vsbid.kr/root/ 의 우측 업종별평균비율)


-업종별 유동비율 평균값 정리된 걸 찾지 못하겠다. 


-그 때 그 때 스크리닝에 걸러진 기업 업종의 평균값을 찾아야할 듯. 귀찮으면 그냥 1.2로 적용. 


4) (고정자산 중의 투자자산): 자고 내일 해야겠다. 



#소형 저평가 성장주에 투자해보자. 


#이 책을 읽고 가장 먼저 '한국버전으로 바꾼 공식을 만들어봐야겠다.'는 생각이 들었고 하다가 중간에 막히는 부분들이 있어서 검색해보니 이미 그 작업을 한 블로그가 있다. (http://zdfrt1234.tistory.com/m/6) 조금 다른 부분도 있지만 참고하면서 작업했다.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4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글 보관함